실시간 뉴스



추석 맞은 개성공단 업체들, 자금상황 '절망적’


정부 지원금 공단 재개되면 '반환'…신용도 떨어져 은행 문턱도 높아

[이원갑기자] 추석을 앞둔 개성공단 입주 업체들이 기약 없는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 폐쇄 장기화에 따라 신용도가 떨어져 대출이 어려워졌고 정부 지원금은 공단이 재개되면 그대로 돌려줘야 하는 이유에서다.

개성공단은 지난 2000년 6·15 공동선언을 계기로 등장한 남북 경제협력 사업으로, 남측의 기술과 자본을 북측의 토지와 인력에 접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 2003년 착공한 이래 13년간 기업들의 활동이 이어졌지만 2016년 2월 10일 남북 관계 악화로 인해 전면 폐쇄됐다.

생산설비와 재고를 대부분 개성에 두고 빠져나온 입주 기업들은 200일이 넘도록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 개성공단기업협회에 따르면 124개 입주 업체들 중 49개가 개성에만 생산시설이 있었기 때문에 이들 업체는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입주 기업들은 개성공단에서 생산해 다른 기업에 납품하고 있던 제품을 계속해서 생산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납품이 중단되면 거래처가 끊길 수 있기 때문이다. 공단이 폐쇄된 후 개성으로의 입경이 차단되고 물과 전기는 끊겼기 때문에 개성에서의 생산 부족분은 현재와 같이 국내에서의 대체생산을 선택하거나 해외에 신규 공장 확보해 충당해야만 한다.

개성공단의 이점은 남측의 10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한 노동비용이다. 기업들이 국내 노동력을 활용해 기존의 제품을 생산할 경우 노동비용의 상승은 불가피하다. 해외 공장을 확보하는 경우 사업에 문제가 없다 해도 초기 투자비용의 손익분기점을 달성하려면 적어도 3년 가까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기업들의 일부는 손을 아예 놓고 있고 일부는 국내에서 대체 생산을 하는데 그마저도 채산성이 맞지 않아 적자 경영이 이어진다"며 "10곳 미만의 업체가 해외로 건너갔거나 시도를 하고 있지만 아직 초기 투자금의 이자도 못 내고 있다"고 말했다.

입주 업체가 자금을 획득할 수 있는 경로는 주로 남북경협보험금, 경협보험 미가입 업체를 대상으로 한 정부 지원금, 은행권의 융자 등이다.

경협보험금과 정부 지원금은 모두 입주 업체가 공단 현지에서 가지고 있던 생산설비 등의 고정자산과 완제품 재고분과 같은 유동자산의 피해 규모에 따라 산정된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해당 자산을 담보로 삼아 지급되는 것으로 추후 공단이 정상화돼 담보가 됐던 자산을 업체들이 되찾는 경우 이전에 지급받았던 돈을 모두 되돌려줘야만 한다. 사실상 무이자 대출인 셈.

입주 기업들은 공단 정상화를 전제로 하고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아 직원 급여 등의 유지비를 충당하기도 하지만 그마저도 대출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폐쇄 조치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입주 기업들의 신용도 역시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3년 북측에 의한 폐쇄 조치가 5개월여 만에 끝났던 당시 입주 업체의 신용도 변화가 크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한 관계자는 "공단 폐쇄 전에 은행 측에서 금리 4%짜리 상품을 들고 와서 돈을 써 달라곤 했는데 폐쇄 이후 은행을 찾아가니 12%짜리 상품을 추천받았다"며 "사업을 접고 재기하려 해도 그간 몇 년에 걸쳐 쌓아 온 브랜드 가치가 있어 한번 (사업을) 접으면 그것으로 시장 재진입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원갑기자 kalium@inews24.com

2024 iFORU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추석 맞은 개성공단 업체들, 자금상황 '절망적’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