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산업, 이젠 푸른 바다로 -2] 피바다 통신산업, 어디까지?


 

"40만원 짜리 LCD모니터에 10만원 위약금도 대신 내줍니다." 올초 KT 유통점이 후발사업자의 가입자를 뺏어오기 위해 내걸었던 조건이다.

"전화 불통, 더 이상 참지 마십시오! 하나로텔레콤 전화가 있습니다!!!" 이는 하나로텔레콤 구미고객센터가 지난 2월28일 전화불통 사태 후 광고전단지에 실은 내용이다.

현행 법상 상품 가격의 10%를 넘는 비싼 경품을 주거나 위약금을 대납해주는 것은 불법이지만 업체들은 단속기관을 비웃기라도 하듯 틈만 나면 불법과 탈법 상행위를 하고 있다.

이처럼 통신업계가 경쟁사를 상대로 '죽고 죽이기 게임'을 벌일 수 밖에 없는 것은 통신산업이 심각한 경쟁의 피바다(레드오션)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통신시장은 극도로 위축돼 있지만 기업은 성장을 지속해야 하는 상황에서 다른 회사 가입자를 뺏는 것 외에는 다른 생존방법이 없다.

이것이 오늘날 대한민국 통신산업의 현주소다.

수치로만 보면 통신서비스 시장이 줄어들고 있다고 말하기 힘들다.

유선전화시장은 매년 2%씩 감소하고 있지만 초고속인터넷 시장은 0.8% 가량 성장세이고, 이동통신도 5% 정도는 해마다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 정도 성장 규모로는 매년 매출과 이익의 성장률을 높여야 하는 기업들이 생존하기에는 팍팍하기만 하다.

특히 통신업체들은 이미 대형 몸집을 가진 '공룡'처럼 됐다. 공룡들로서는 정체되고 심지어 줄어드는 시장은 더 이상 살기 어렵다.

또 주주들이 요구하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더구나 기술발전으로 인해 인터넷전화(VoIP), 와이브로(휴대인터넷) 등 신규서비스가 잇따라 나오면서 기존 서비스를 대체해 간다. BcN(광대역통합망)으로 대표되는 올IP(ALL IP) 시대가 오면 음성통화에서 돈 버는 것은 아예 포기해야 할 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같은 신규서비스를 위해서는 새로운 투자를 해야 하지만 수익은 늘 그 자리에 머문다. 서비스의 종류만 바뀔 뿐, 부가가치는 높아지지 않는 것이다.

당연히 사업자들이 신규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꺼리게 되는 이유다. 기존 투자에서도 아직 투자비를 회수하지 못했는데 이를 버리고 새로운 망으로 옮겨가는 것이 달가울 리 없는 것이다.

게다가 경쟁자는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초고속인터넷 주요사업자군 및 사업자현황('05년 4월 기준)

사업자군
개수
사업자
진입규제
기간통신사업자
8
KT, 하나로텔레콤, 두루넷, 온세통신, 드림라인, 데이콤, EPN, SK네트웍스
허가
방송사업자
67
MSO를 비롯한 SO 50개, RO 17개
신고
별정통신사업자
30
삼성네트웍스, SK텔링크, 단지넷, NTT코리아 등
등록
합계
105

가입자수 1천200만명, 연매출 4조3천억원('04년 말 기준)인 초고속인터넷시장에 뛰어든 사업자는 무려 105개.

KT나 하나로텔레콤, 두루넷, 온세통신, 드림라인, 데이콤, EPN, SK네트웍스 등 기간통신사업자만 있는 게 아니다. 방송사업자 67개, 별정통신사업자 30개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여기에 최근 회선설비임대사업자인 파워콤이 진입을 허가받고, 유선방송업체(SO)들이 공동법인을 만들어 TPS(케이블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서비스를 하겠다고 선언하면서 피 튀기는 경쟁은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2003년 4월 두루넷에 이어 온세통신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통신 업계 전반에 적신호가 켜졌다.

정보통신부는 시급히 주요 사업자들과 '통신사업 경쟁력 강화 대책반'을 구성했지만 지금까지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말 정통부 앞에서 시위를 하면서까지 이동전화사업자들과 역무침해 논란을 벌였던 에어미디어, 리얼텔레콤, 한세텔레콤 등 무선데이터통신 사업자들은 인력감축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생존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선발업체인 KT와 SK텔레콤의 경쟁력 역시 정체되거나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는 평가다.

기업의 수익성 지표를 뜻하는 에비타(EBITDA,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전 영업이익) 마진을 살펴보자.

KT의 2004년 1분기 에비타 마진은 43.3%였지만 4분기에는 31.9%로 떨어졌고, 2005년 1분기에도 38.3%를 기록해 연내 가이던스를 37%로 조정했다.

SK텔레콤은 2003년 이미 에비타 마진율 47.9%를 기록한 바 있으나, 2004년엔 41.8%로 떨어졌다. 올해 목표는 42%이나 쉽지 않아 보인다.

후발 통신사업자들의 어려움이 네트워크(통신망)가 없는 상태에서 경쟁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라면, 선발업체들의 고민은 새로운 수요를 찾기 어렵다는 데 있다.

유선통신보다 사업전망이 좋은 이동전화분야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의 가입자당매출(ARPU)이 줄고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회사의 1분기 ARPU는 4만2천557원. 직전 분기(4만4천336원)에 비해 0.4%가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4만3천623원)에 비해서도 2.4%나 줄었다.

ARPU는 영업일수와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1분기 때 최저라고는 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에도 줄어든 것은 특기할 만하다.

지난 해 이동전화 기본료가 인하되고, 경기침체로 이동전화 사용이 줄었으며, 신세대에게 음성전화보다는 문자메시지 등을 주고받는 게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가장 경쟁력있는 통신사업자가 가입자 1명에게서 벌어들이는 돈이 줄고있다는 점은 통신업계가 아무리 클린마케팅을 하려 해도 남의 가입자를 뺏어오거나 자신의 가입자를 방어하는데 신경쓸 수 밖에 없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통신산업에서는 다른 레드오션 시장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규제산업이라는 특성이 경쟁사의 마케팅에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중소 제조업체 경영난...IT 생태계 파괴된다

우리나라 통신산업이 이만큼이라도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서비스산업과 장비산업의 선순환 메카니즘을 적절히 활용한 정부 정책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 정부가 앞장서서 국산 장비 사용을 독려함으로써 국내 장비 업체들은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시장에 나가 경쟁할 수 있었다. 전전자교환기(TDX)가 대표적인 예다.

또 PCS 사업자 선정 등 이동통신시장의 경쟁정책으로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났고, 이를 바탕으로 국산 휴대폰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 삼성전자가 휴대폰시장에서 굴지의 기업 모토롤러를 밀어낸 것은 좋은 예다. 성능좋은 휴대폰은 다시 이동전화 가입자를 늘리는 효과를 낳았다.

그러나 근년에는 이같은 선순환 메카니즘이 끊어졌다. 결과적으로 국내 통신장비 업체, 특히 중소 통신 장비업체들에는 혹독한 시련을 안겨주고 있다. 정체상태에 접어든 기존 서비스 시장은 장비업체들에게 추가 시장을 만들어 주지 못하고 있고, WCDMA를 비롯한 신규서비스도 지지부진하다. 새로운 서비스 시장이 열리지 못하니 장비업체들로서는 어떻게 손써볼 여지가 없다.

더구나 정부의 큰소리와 서비스 업체의 장미빛 청사진을 믿고 선투자에 나선 업체들은 그야말로 죽을 맛이다. 이미 많은 수의 업체들이 문을 닫았다. 따라서 새로운 시장, 즉 블루오션이 열리지 않는 다면 국내 중소 통신장비업체의 앞날은 깜깜하고, 이는 우리나라 IT 생태계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 1월 LG전자는 노텔네트웍스와 통신 장비 합작사를 설립키로 했다. LG전자 시스템 사업부와 노텔코리아를 하나로 합치기로 한 것이다. LG전자는 '돈 안되는' 시스템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휴대폰에만 전념할 계획이다. LG-노텔 합작사 설립은 국내 통신 장비 업체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준다.

그동안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국산 통신장비업계를 이끌어왔다. 한국이 CDMA 서비스를 최초로 상용화하면서 관련 장비 업체들도 호황을 누릴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통신 사업자들이 신규 투자를 주저하면서 국내 통신 장비 시장은 최악의 시기를 맞고 있다.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대기업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 수많은 중소 장비 업체들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통신 사업자 뿐 아니라 일반 기업들까지도 IT 투자에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네트워크 장비 업체 관계자는 "기업들이 투자를 축소하면서 예전에 비해 프로젝트 건수가 대폭 감소했다"고 말했다. 지금 국내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시스코, 루슨트, 노텔, 알카텔 등 브랜드 있는 외산 기업들이 거의 독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이들 외산 장비 업체마저도 경기 악화를 우려할 정도로 현재 국내 IT 산업은 위기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국내 IT 생태계가 완전히 파괴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통신사업자들이 신규 서비스에 대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주저하면서 국내 시장을 테스트베드 삼아 해외에 진출하던 그 동안의 한국형 IT 산업 모델이 무너지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가 CDMA 시장을 선도했듯 또 다시 한국의 서비스와 기술이 세계 시장을 이끌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희종기자 hjkang@inews24.com

[익명 인터뷰] "기업도, 정부규제도 손발 좀 맞춥시다"

"통신산업에 시장과 경쟁이 있습니까? 자신이 치명적인 상처를 입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경쟁사를 죽이려고 덤벼들고, 정부 모든 부처가 통신사업자를 범죄자 다루듯 벼르고 있습니다. 이대로는 투자와 IT산업 발전을 위한 통신사업자의 역할은 고사하고 기업경영 자체가 위협을 받습니다."

수 개월간 통신산업의 '블루오션' 전략을 얘기하던 한 통신업체 임원의 말이다. 그동안에는 간접적 비유 방식으로 말하던 이 임원에게 '익명 인터뷰'임을 설명하고 명확한 현실진단을 요구하자 단번에 얼굴을 붉히며 말을 시작한다.

통신업체의 임원들이라면 이미 전통적인 통신시장은 더 이상 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 쯤 잘 안다. 그러나 대안을 찾는 일도 쉽지는 않다. 통신시장의 경쟁도 해야 하고 미래 전략시장인 '블루오션'도 찾아야 하고...

"몇년 전 한 이동통신업체가 금융사와 함께 통신-금융이 융합되는 서비스를 만들어낸 일이 있습니다. 그런데 당시의 협상결과는 융합보다는 가입자 늘리기를 위해 융합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훼손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에서는 정통부를 필두로 공정위, 금감위, 재경부 등 대부분의 부처들이 통신업체에 눈독을 들이고 있습니다. 그것도 하나의 규제원칙이 아니라 모든 정부부처가 각각 자기입장에서 규제합니다. 시쳇말로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지 난감한 상황이 한 둘이 아닙니다."

이 임원은 "우선 통신사업자들이 경쟁과 전쟁의 다른 점을 각인하고 산업 전체가 생존할 수 있는 전략 부분에서는 손발을 맞춰야지요. 산업간 융합을 위해서 통신사업자들이 손발을 맞추고 전략을 맞춰야 합니다"라며 대안을 제시한다.

통신과 방송, 통신과 금융, 통신과 미디어 등 결합 시장을 찾아내기 위해 기술은 물론 장기 시장 전략, 융합 전략 등에 대해 통신업체들이 우선 거시적인 전략 맞추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도 규제에 있어 컨버전스를 실현해 줬으면 합니다. 정부 부처들이 협의해서 하나의 원칙과 잣대를 가지고 산업의 육성과 국가경제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거시적이고 예측 가능한 틀을 제시해 줘야 기업이 경영활동을 해 나갈 수 있습니다."

정부에 대한 바람도 '컨버전스' 였다. 정부에서도 관계부처들이 긴밀한 협의를 통해 원칙과 잣대가 일정한 '게임의 룰'을 만들어 달라는 것이다.

이구순기자 cafe9@inews24.com

이 뿐 아니다. 지난 해 10월 이동통신업체들은 대학이나 연구소를 내세워 잇따라 자기 목소리를 냈다.

KTF가 서울대 경제연구소를 통해 현 주파수 배정이 잘못돼 있음을 지적하고 나서자, SK텔레콤도 숙명여대 교수팀을 동원해 전파사용료 차등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통신업체들이 외부 용역을 의뢰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 자체를 지나치다 할 수는 없지만, 그 내용이 당장의 눈앞의 이익에만 쫓겨 서로에게 상처를 입히기 위한 것이라면 문제다.

최근 하나로텔레콤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시내전화·전용회선 담합건과 관련, '고자질 마케팅'을 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공정위가 KT에는 1천159억원의 과징금을, 하나로에는 21억5천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하나로텔레콤은 공정위 심결에 앞서 "KT와의 시내전화 요금 담합을 모두 인정한다"고 소명해 공정위로부터 "하나로텔레콤은 조사협조가 인정돼 과징금 49%를 감경한다"는 조치를 얻어냈다.

그러나 이 같은 하나로의 공정위에 대한 태도는 정통부의 '유효경쟁 체제'를 통한 사업자 규제를 전면 부인하는 것으로, 정통부를 곤란하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하나로는 적극적으로 소명했지만, 아직도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올 상반기 KT, 하나로텔레콤, 데이콤,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6대 기간통신사업자들의 투자액은 1조9천220억원, 마케팅 비용은 2조1천390억원으로 11% 가량 마케팅 비용이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상반기의 경우 투자비 2조250억원, 마케팅비 1조6천180억원으로 투자비가 4천억원 이상 많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올 상반기 마케팅 비용이 이처럼 치솟은 것은 유선통신사업자들의 책임이 크다.

<사업자별 마케팅비용 증감 추이>(자료:각사업자)
구 분 광고비 판매촉진비 계 (총마케팅비용)
KT 2000
1,126
1,381
2,507
2001
1,017
2,004
3,021
2002
1,571
2,238
3,809
2003
1,528
2,355
3,883
2004
1,429
3,724
5,153
하나로 텔레콤 2000
285
8
293
2001
264
131
395
2002
227
162
389
2003
192
76
268
2004
236
212
448
데이콤 2000
267
133
400
2001
75
30
105
2002
100
39
139
2003
68
24
92
2004
155
39
194

이통3사는 번호이동성제도가 도입되기 시작한 지난 해와 달리 올해에는 마케팅 비용을 줄였다. 작년 상반기 1조8천900여억원에서 올 상반기에는 1조5천500억원대로 줄인 것.

하지만 유선 3사의 비용은 5천억원에서 5천800억원으로 늘었다. 초고속인터넷 시장을 지키기 위해서다.

9월 이후 파워콤이 초고속인터넷 시장에 진입하면 가입자쟁탈전이 가열돼 유선3사의 마케팅 비용은 더욱 늘어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렇다고 유선통신사업자들이 투자를 늘리는 것을 기대하기도 힘들다.

유선전화망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초고속인터넷망을 구축했던 2000년과 달리 수요처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할 자금도 없다.

이에 따라 '2.28 전화대란' 같은 원시적인 사건이 발생할 우려가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광대역통합망(BcN)의 활성화를 위해 갈수록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유선통신망의 안정성이 심각한 위협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통·방융합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통신망(FTTH)투자도 지연될 위기다.

주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과거 초고속인터넷처럼 정부가 투자를 주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차세대통신망은 어떻게 적기에 구축할 것인가.

차세대통신망이 적기에 만들어지지 않으면 8대 서비스→3대 망투자→9대 신성장동력으로 이어지는 IT경기의 선순환적인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다.

김현아기자 chaos@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통신산업, 이젠 푸른 바다로 -2] 피바다 통신산업, 어디까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