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운기자] 지난해 카드 3사의 대규모 고객정보 유출 사고를 겪은 후 무마책으로 내놓은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가 올해 들어 유료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사들이 챙긴 수수료도 수십억원에 달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신학용 의원이 15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신용카드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 유료화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보유출사고 이후 국민, 롯데, 농협카드 3사는 무료 문자 알림 서비스에 신규가입한 고객들로부터 27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거뒀다.
카드 3사는 정보유출 사태 이후 1년 동안 문자 알림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다가 지난 3월부터 유료서비스로 전환했고, 문자 알림 서비스에 새로 가입했던 350만 명 중 유료화 이후, 해지한 사람은 10%에 불과했다.

이는 카드사들이 유료화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한 번 보낸 뒤, 답이 없는 고객들을 모두 유료화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국민카드는 약 14억원, 롯데는 약 7억원, 농협은 약 5억원의 수익을 거뒀다.
이에 대해 카드사들은 한 달에 300원씩 수수료를 받는데, 건당 10원 정도 문자전송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익을 보지 않는다고 반박하며, 유료전환사실을 이메일이나 이용대금명세서를 통해서도 알렸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신 의원은 아직도 상당수 이용자들은 카드 문자메시지가 유료화됐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유출시켜 여론의 뭇매를 맞았던 신용카드사들이 이번에는 무료서비스를 제대로 고지하지 않고 은근슬쩍 유료로 전환해 사실상 부당이득을 챙겼다"며 "1년 전 국민들 앞에 나와 고개 숙이며 반성한다고 사과했던 것이 과연 진정성 있었던 건지 의심이 된다"고 꼬집었다.
/김다운기자 kdw@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