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가계통신비 해결책은 단말기 가격인하


[숨막히는 통신비 下]출고가 낮추고 보급형 단말기 늘려야

#사례1. SK텔레콤은 지난 3월13일 '어르신용' LTE요금제를 출시했다. 스마트폰 정액요금제로는 파격적인 1만5천원 기본료를 책정했다. 하지만 이 요금제에 가입자들은 실제로 그리 많지 않을 듯하다. 1만5천원 요금제를 선택하면 어떤 단말할인 보조금도 받을 수 없다. 요금에 민감한 노인층에서 100만원에 육박하는 LTE 단말기를 구매하시 쉽지 않을 것이다.

#사례2. 삼성전자가 출시한 갤럭시M이 '조용히'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출고가 45만원선인 이 제품은 통신사에서 스마트폰 요금제중 가장 저렴한 34요금제를 선택해도 9만원대로 구입할 수 있다. 월 단말할부금도 3천850원이면 된다. 이같은 저렴한 가격과 세련된 스타일에 힘입어 갤럭시M은 누적 판매량 30만대를 돌파했다.

[강은성기자] SK텔레콤의 노인전용 요금제는 비싼 단말기 때문에 비용이 적게 드는 요금제에 가입할 수 없는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기본료 1만5천원 요금제는 가입자 '복지'차원에서 파격적으로 싸게 요금을 책정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단말기 할인 보조금을 추가로 제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 요금제를 선택하려면 중고폰을 활용하는 방법에 있을 수 있다. 보급형 단말기가 많아진다면 새 단말을 이용할 수 있는 소비자들도 늘어날 것이다.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삼성전자 갤럭시M의 주 사용층은 대부분 10대나 50대 가입자로 알려진다. 이들은 대부분 34요금제, 즉 스마트폰 정액요금제 중 가장 싼 요금제를 선택하고 있다. 요금부담이 큰 청소년이나 실속으로 따지는 주부 층에서 인기를 끄는 것으로 풀이된다.

◆비싼 스마트폰 사기 위해 고가 정액제 선택

앞서 제시한 두 사례는 단말기 가격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요금제 선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1년 가계통신비를 분석해보면, 통신서비스는 2010년보다 2.5%, 단말기 구매비용은 49.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가계통신비 증가는 단말기 구매로 인해 많이 늘었다. 요금 고지서에 단말기 할부금이 포함되면서 소비자들도 가계통신비 부담이 증가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소비자들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부담을 덜기 위해 할인보조금이 많은 비싼 요금제를 선택하는 기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통신3사 가입자 현황을 보면, 3G 스마트폰 정액요금제는 50% 이상이 54요금제를 선택하고 있다. '데이터무제한' 이 요금제를 선택한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그런데 34요금제나 44요금제보다 54요금제의 요금할인율이 높다. 여기에 54요금제에 대한 대리점 보조금 지급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LTE요금제로 가면 이런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각사가 밝힌 요금제 가입 비율에 따르면 현재 250만명에 달하는 LTE 가입자 중 62요금제 가입비율은 70%를 웃돈다. 한달 6만원이 넘는 고액 요금제를 전체 가입자 70% 이상이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62요금제가 52요금제보다 1만원 비싸지만 요금할인율이 28.3%로 가장 높고, 월 9천원 상당의 '데이터안심서비스'등 각종 부가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1만원 비싼 것을 상쇄시킨다. 사실상 이용자에게 52요금제나 62요금제는 납부 금액이 비슷하다.

공정위 시장감시국 신영선 국장은 "고가의 스마트폰은 할부금 잔여대금이 커서 소비자가 통신사 전환을 쉽게 하지 못하는 고착효과(lock-in)도 발생해 저렴한 요금제가 있는 통신사로 옮겨가는 등 이용자가 자발적으로 요금을 낮추려는 노력을 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도 있다"고 말했다.

◆요금인하, 단말기 가격인하부터 풀어가야

이렇듯 가계통신비의 문제는 우선적으로 고가 단말기에서부터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다.

100만원에 육박하는 스마트폰 단말기가 시장의 주류를 이루는 이상 통신사들은 이를 할인하면서 고객을 끌기 위해 고액요금제에 보조금을 싣는 구조가 반복될 것이다. 소비자들 역시 보조금을 쫒아 고가단말기를 구입할 가능성이 크고, 가계통신비 부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와 국회의 압박으로 단말기 출고가 인하가 일시적으로 단행된 적이 있다. 당시 큰 관심을 모았던 삼성전자의 갤럭시S2가 전작 갤럭시S(94만9천300원)보다도 10만원 가량 싼 84만7천원으로 출시됐던 것.

하지만 후속작 갤럭시S2 LTE와 갤럭시S2 HD LTE는 89만9천800원으로 원래 가격을 '회복'했고, 펜 기능이 포함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갤럭시노트는 99만9천원이라는 초고가에 출시되는 등 이후 모델에서는 출고가 인하 노력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석채 KT 회장은 "국내 제조사들은 똑같은 스마트폰을 국내 소비자들에게 (외국에 판매하는 것보다)더 비싼 가격에 팔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단말기 가격에 거품이 있다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그는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가격을)글로벌 유통 가격으로만 낮춰도 국민 부담은 확 떨어질 것"이라면서 "보조금에 따라 구입가격이 달라지는 휴대폰 유통구조도 보다 투명하고 차별없게 바뀌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고 사양의 스마트폰의 가격도 인하돼야 하겠지만, 핵심 기능을 쓸 수 있는 합리적 가격의 스마트폰이 다양해져야 한다. 청소년이나 어르신 계층도 단말부담이 적은 스마트폰을 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통신요금을 현실화하고 기형적 보조금 시장구조로 뒤틀려 있는 휴대폰 유통질서를 바로잡는 첫 걸음은 '스마트폰 가격'의 실타래를 푸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해당사자인 단말제조업체와 통신사, 그리고 정책당국 역시 이 숙제의 해법 마련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통신관련 연구기관의 관계자는 초고가 휴대폰을 구입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지만, 성능의 몇%를 제대로 활용하는 지 소비자들도 스스로 따져보고 최고가보다 가장 실리적이고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을 구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은성기자 esther@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가계통신비 해결책은 단말기 가격인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