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포스코·KT·농협은 왜 '오너 일가'가 없을까


전문경영인체제 채택…정권 교체에 따른 '코드 맞추기 인사' 비판도

[이원갑기자] 최근 롯데그룹이 '오너 리스크'로 경영 외적인 부분에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오너 없는 그룹'인 포스코와 농협은 이 같은 위험요소에서 벗어나 있다.

주요 그룹사들의 지배체제가 오너 일가의 경영권 확보를 통해 수립되는 데 반해 국영기업인 옛 포항종합제철로 출발해 지난 2000년 민영화 절차를 밟았던 포스코는 국내외 자본들의 소유 하에 전문경영인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옛 한국전기통신공사에서 지난 2001년 민영화된 KT 역시 오너가 존재하지 않는다. 농협의 경우 사업분야별 지주회사 체제 하에 해당 지주사 지분의 100%를 농협중앙회가 가지고 있다.

포스코의 현재 최고경영자는 권오준 회장으로 지난 2014년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임명됐다. 정준양 전 회장이 물러난 후 공석이 된 자리를 맡게 된 것. 3년 임기의 전문경영인인 권 회장은 임기 중 실적이 연임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포스코의 지분은 국민연금관리공단과 일본 신일철주금 등 다수의 주주들이 나눠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KT 역시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경영권을 독점한 오너 일가 없이 국민연금, 일본 NTT 도코모 등 여러 세력이 지분을 가지고 있다. 황창규 KT 회장은 지난 2014년 임명돼 KT의 사령탑을 맡고 있다. 황 회장 역시 권오준 회장과 마찬가지로 3년 임기의 마지막 해를 눈앞에 두고 있어 연임 여부와 이를 뒷받침할 임기 중 실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반면 농협의 경우 농협중앙회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농협경제지주와 농협금융지주 등 지주회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룹의 소유 주체인 농협중앙회의 회장은 임기가 4년으로, 농업협동조합 내 대의원 조합장들의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중앙회장과 별개로 각 지주사들의 대표이사 자리에는 포스코나 KT와 같이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전문경영인이 임명된다.

다만 이들 그룹사는 오너 일가가 구설수에 오를 때 그룹 경영에 치명적인 타격이 들어오는 등의 위험 요소로부터는 자유롭지만 대표의 비리는 재임 중에 여전히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권오준 회장의 전임자인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은 지난 2009년 취임해 2012년 연임에 성공, 2015년까지 임기가 예정돼 있었지만 이명박 정권과의 정경 유착·배임·뇌물 수수 등의 의혹이 제기되던 2013년 사퇴 의사를 드러내기 시작하다 2014년 공식적으로 물러났다. 해당 혐의에 대한 수사는 현재까지도 진행 중에 있다.

황창규 회장에게 바통을 넘겨준 이석채 전 KT 회장 역시 재임 중 배임·횡령에 대한 의혹에 시달리다 지난 2013년 남은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이후 이 회장에 대한 1심 판결은 무죄로 판정을 받았지만 지난 5월에 나온 2심 판결에서는 일부 유죄가 선고된 바 있다.

한편, 경제개혁연대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정권 교체와의 연관성을 제기하면서 지난 2013년 11월 11일 당시 논평에서 "민영화 공기업의 CEO 교체와 관련된 소식이 계속 나오고 있는 것은 정권 교체에 따른 '코드 맞추기 인사' 구태가 또다시 재연되는 것"이라며 "이 같은 악순환은 해당 기업의 지배구조와 경영성과를 악화시킨다"고 비판했다.

이원갑기자 kalium@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포스코·KT·농협은 왜 '오너 일가'가 없을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