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가입자 80만명 '와이브로'를 어찌할꼬


사실상 사장된 기술, 일부선 700㎒ 주파수 대안 주장

[허준기자]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된 와이브로가 '계륵'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가입자는 계속 줄어들고 통신사들의 투자도 사실상 중단된 상황이라 와이브로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다른 용도로 이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1일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무선 가입자 통계에 따르면 와이브로 가입자는 5월말 기준 84만3천여명까지 감소했다. 지난 2012년 가입자 100만명을 넘어선 이후 지속적으로 가입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

와이브로 가입자 감소는 LTE 확산과 맞물려있다. 이동통신사들이 와이브로 대신 LTE 망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와이브로에 대한 투자는 사실상 전무해졌다. 와이브로는 LTE에 대적한 토종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정부의 지원을 받았지만 글로벌 트렌드에서 뒤쳐지면서 사장됐다.

정부도 지난 2013년 와이브로 방식을 고수하던 제 4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계획을 와이브로와 유사한 LTE-TDD(시분할 방식) 방식 도입으로 선회하기도 했다. 이같은 정부의 발표로 사실상 와이브로의 수명도 다했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지난해 KT가 와이브로와 LTE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에그' 상품을 출시하긴 했지만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KT와 함께 와이브로를 서비스하고 있는 SK텔레콤도 최근 2년간 와이브로 상품을 전혀 출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700㎒ 주파수 대안으로 와이브로 주파수 부상

방송통신 시장에서 와이브로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700㎒ 주파수 논란이 불거지면서부터다. 당초 정부는 부족한 통신 주파수 확보를 위해 700㎒ 대역 최소 40㎒ 폭을 통신사에 할당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지상파 방송사들이 초고화질(UHD) 방송을 위해 이 주파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계획이 흔들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정책 소위원회는 통신용보다는 UHD방송용으로 할당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면서 통신용 할당계획은 난관에 봉착한 셈이다.

그러다보니 국회에서는 통신 진영을 향해 700 ㎒ 대역의 대체용으로 와이브로 대역을 할당하면 된다는 목소리가 등장하는 것.

새정치민주연합 전병헌(주파수소위 위원) 의원실 관계자는 "통신용 주파수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와이브로용으로 할당된 2.3㎓ 대역을 LTE로 용도전환하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며 "방송사들이 사용중인 3.5㎓ 대역도 회수해서 통신용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사에게 반드시 700㎒ 대역을 할당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업자들도 큰그림에서는 찬성하지만…

현재 통신사업자들은 와이브로용으로 쓰고 있는 2.3㎓ 대역을 LTE용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큰그림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상황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향후 와이브로 주파수를 일부 회수해 LTE 광대역 주파수로 경매에 내놓으면 통신사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2.3㎓ 대역은 700㎒ 대역 논의와 별개로 논의할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통신업계는 국회나 방송진영이 2.3㎓ 대역을 700㎒ 대역의 대안으로 논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또다른 통신사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700㎒ 대역을 통신용으로 활용하고 있는 만큼 이 대역의 통신용 할당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와이브로 주파수의 회수 재배치 문제는 700㎒ 문제와는 별개로 구분해야 할 사안"이라고 재확인했다.

주파수 관련 전문학회인 한국전자파학회 회원은 "국회나 방송계의 주장처럼 700㎒ 대역은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나눠먹을 성격의 사안이 아니다"라고 지적하며 "비전문가 집단인 국회가 국제적 조화가 필요한 주파수 문제를 사익을 추구하는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국제적인 웃음거리가 될 판"이라고 비판했다.

허준기자 jjoony@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가입자 80만명 '와이브로'를 어찌할꼬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