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자본시장, 핀테크 더 늦어선 곤란해"


온라인 자산관리 등 자본시장 활용 아이템 많아 공세 전환도 좋아

[이혜경기자] "자본시장이 이제는 핀테크에서 더 늦어져선 곤란하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쏟아졌다. 비즈니스면에서도 자본시장이 활용할 만한 아이템도 적지 않아 공세적으로 나가도 좋다는 독려도 있었다.

22일 열린 '자본시장에서의 핀테크 생태계조성' 콘퍼런스에서 정유신 서강대 교수는 "모험적 성격을지닌 자본시장은 은행권보다 오히려 더 핀테크 친화적"이라며 "핀테크를 통해 그동안 외면받았던 소액자금을 끌어 올 수 있고, 증권화 상품을 만들 수 있는 자본시장은 은행과 달리 세컨더리 마켓이 존재해 시장의 확장성도 지녀 유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온라인 자산관리 등의 서비스가 경쟁력을 지닐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소비자의 온라인 활동 등 비재무적인 빅데이터를 분석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정 교수는 "정책당국이 핀테크를 이끌어 가는 분위기지만, 핀테크에는 자본시장 스스로 열심히 해볼 만한 매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증권사의 대표적인 고비용 부서인 리서치 분야도 핀테크를 활용하면 개별 기업화를 통해 독립적인 사업에 나설 수 있는 등 새로운 기회가 많아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민화 카이스트 교수는 "과거 아마존이 서점산업의 롱테일화를 이룬 것처럼 핀테크를 통해 롱테일 경제가 확산될 것"이라며 "소규모 금융, 소액대출, 실시간거래 등이 핀테크로 새롭게 나타난 금융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는데, 앞으로 핀테크가 기업금융, 대규모자금, 고액관리 등으로까지도 가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국내에선 핀테크 논의가 인터넷은행으로 출발했지만, 자본시장의 핀테크로 확대돼야 한다"며 "금융투자업이 주도하는 핀테크 혁신이 나타나야 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을 독려했다. 다만 이에 앞서 금융당국의 규제가 빠른 시일내에 합리화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황병선 카이스트 교수는 "컴퓨터 산업이 IBM 같은 제조사들이 부품사들을 가치사슬로 엮어 수직적 산업화를 이뤘지만 현재는 하드웨어, 운영체제(OS), 콘텐츠, 칩, 소프트웨어 등으로 수평적으로 통합되어 갔다"며 자본시장도 금융투자업에만 매몰되어 있어선 곤란하다고 각성을 촉구했다.

이어 "금융이 돈을 다루는 산업인데, 숫자와 정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업은 어디든 경쟁자가 될 수 있다"며 씨티은행이 최근 경쟁자로 모바일 택시 앱 업체 우버를 꼽은 것처럼 경쟁자의 경계가 모호해 지고 있다는 점도 한 예로 거론했다.

이지은 액센츄어 부사장은 "보험사들이 요즘 자사 앱을 만들고 고객들이 매일 들어와 보도록 노력하고 있는데, 보험사 앱에서 제공하는 만보계 기록 등이 고객의 보험료에 연계가 된다거나, 의료 정보를 볼 수 있다거나 하는 식으로 고객들이 매일 접속할 이유를 제공한다면 이 또한 좋은 플랫폼이 된다"며 자본시장에서도 스스로 플랫폼업체로 가는 데 관심을 촉구했다.

이 부사장은 특히 "플랫폼은 누구나 익숙해지면 바꾸기가 매우 힘든데, 핀테크는 플랫폼 싸움인 경우가 많다"며 "선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혜경기자 vixen@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자본시장, 핀테크 더 늦어선 곤란해"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