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나로호 성공' 우주 강국 도약 과제는?


예산과 인력 지원 핵심…정부 의지도 중요

[백나영기자]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가(KSLV-1) 성공적으로 우주에 안착하면서 우주개발 사업에 대한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나로호 발사가 성공하면서 가장 먼저 주목을 받게 된 것은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

한국형 발사체 사업은 총 1조5천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1년까지 1.5톤급 실용위성을 저궤도 위성에 올려놓을 수 발사체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형 발사체 사업을 초석으로 삼아 2025년에는 달 탐사까지 도전할 계획이다.

나로호의 성공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한국 우주기술 개발 사업. 우리나라가 진정한 우주 강국이 되기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입을 모아 인력과 예산을 꼽는다.

♦"기술력은 문제없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소형위성발사체 나로호개발 과정에서 발사체 핵심 기술 수준이 평균 46.3%에서 83.4%로 향상됐다. 상단 킥모터 기술은 선진국 대비 97.5% 수준에, 발사장 기술은 선진국의 90%에 이른다. 문제는 액체로켓 추진 기술.

나로호 프로젝트는 러시아와 기술 협력으로 진행됐는데 2006년 한·러 기술협정의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위반 논란이 제기되자 러시아 측이 1단 액체 엔진에 관해선 기술적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조항을 추가했다. 이 때문에 1단 엔진에 대한 기술 이전을 받을 수 없어 반쪽짜리 성공이라는 회의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한국연구재단은 액체 로켓 추진 기술은 선진국 대비 69%의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기술력과 노하우는 이미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항우연의 조광래 나로호 발사추진단장은 "나로호 사업을 통해 우선적으로 목표했던 것은 체계기술의 확보"라며 "상단 부분에 대해선 독자적으로 개발해서 기술을 확보했고, 나로우주센터 또한 국내에서 구축했다"고 말했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단 엔진개발실 설우석 실장도 "엔진 기술을 러시아로부터 직접 이전받기는 어려웠지만 나로호 개발기간 동안 엔진개발을 위한 노력해왔고 가스발생기, 터보 펌프 등 엔진 핵심적인 기술 개발은 이미 개발했다"고 자신했다.

건국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이창진 교수 역시 "전반적인 발사체 기술수준이 선진국 대비 약 70% 수준까지 올라서면 독자적인 개발능력이 충분하다"며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비추어 봤을 때 우리나라의 기술력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예산과 인력 지원이 '핵심'

전문가들이 우주개발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 필요한 조건으로 꼽는 것은 '예산'과 '인력'이다.

현재 우리가 우주에 투입하는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실제 2006년 약 540억 달러였던 세계 우주개발 예산은 지난해 703억 달러로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 우주개발 예산은 2006년 3억3천만 달러에서 2011년 2만1천 만달러로 오히려 감소했다.

항우연 자료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우주개발 예산도 매우 낮은 수준. 지난 2010년 한국의 GDP대비 우주개발예산 비중은 0.02%로 국민 1인당 1만원도 채 투자하지 않았다는 얘기가 된다. 같은 해 미국은 GDP대비 우주개발예산 비중이0.33%, 러시아의는0.35%, 일본은 0.05%였다.

올해 우주기술개발 관련 예산은 1천67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0.3% 늘었고 그중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 예산은 지난해보다 2배 가량 증가한 800억원. 하지만 이마저도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단 사업관리팀 박균제 팀장은 "당초 한국형 발사체 사업 개발에 지원되기로 한 예산은 지난해 1천150억원, 올해 1천500억원 이었는데 지원받은 예산은 절반에도 못미친다"며 "내년에도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산을 지원받게 된다면 한국형 발사체 개발 시기가 늦춰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장 시급한 문제는 시험설비 구축이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단은 2014년 중반부터 시험설비를 구축을 순차적으로 완료하고 2016년까지는 9개의 시험설비를 완공하는 게 목표다.

박 팀장은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발사체와 엔진, 시험설비 세 분야에 투자가 동시에 진행되야 하지만 예산이 부족해 발사체와 엔진 개발 수량을 줄이면서 시험설비에 보다 집중하고 있다"며 "예산만 충분하게 지원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발사체 개발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력 부족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항우연 발사체 연구개발 인력은 200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

조광래 나로호발사추진단장은 "러시아 항공우주진 연구원은 4만5천명이고 엔진 하나만 개발하는 직원이 2천명에 달한다"며 "그 모든 것을 200명이 담당을 하다보니 부족한 점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박태학 한국형 발사체 개발사업단장은 "다른 국가에서는 우주연구 인력이 최소한 1천700명 이상은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국형 발사체 개발시기를 앞당기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100명 정도 늘어난 300명 정도 인력은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우주개발은 10년 이상의 장기 사업…정부 의지가 중요"

정부 의지와 사업의 연속성도 우주개발사업 성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다.

그동안 수차례 거듭된 나로호 발사의 실패∙연기의 원인 중 하나로 과학기술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의 부재가 지적됐다.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면서 과학기술부는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됐고 관련 부처도 뿔뿔이 흩어졌다. 관련 업무들이 흩어지면서 효율성도 떨어졌고 과학기술의 위상도 하락해 우주개발 사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과기계 관계자는 "과학기술부가 교과부와 통합되면서 수장은 차관급으로 떨어졌고 과학기술의 위상도 크게 낮아졌다"며 "과학기술 부처의 입지가 불안정해지면서 관련 사업 지원에 대한 정부의 의지도 약할 수 밖에 없었다"고 털어놨다.

교과부 관계자는 "우주개발사업은 상당한 돈이 투자되고 결과물을 접하기까지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분야"라며 "정부의 입장에서는 해당 정권 내에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들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다른 사업들과의 경쟁에서 밀릴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항우연 관계자는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 발사체 관련 기술은 국제사회에서 매우 민감한 문제라 기술 이전을 받는 것은 불가능한 게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정부에서 우주개발 사업에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다른 국가와의 협력을 위해 노력한다면 비공식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에서는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한 미래창조과학부를 신설하고 인수위를 통해 우주개발사업에 대한 관심도 표현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해줄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백나영기자 100na@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나로호 성공' 우주 강국 도약 과제는?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