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30년-중]실험실 전산망, 세상을 지배하다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컴퓨터 첫 연결

[김영리기자] 국내 최초의 인터넷 연결은 1982년 5월.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와 구미 한국전자기술연구소 실험실에서 이뤄졌다.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의 중형컴퓨터는 1200bps 전용선으로 연결됐다.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으로 명명된 이 망은 한국 전산망의 시작이자 한국 인터넷의 효시다.

SDN이 한국 인터넷의 시초인 이유는 인터넷의 근간인 TCP/IP 및 FTP, 텔레넷 등 응용 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 실험실 전산망에서 인터넷경제규모 2위까지

1982년 연결된 SDN은 자연발생적인 다른 나라의 전산망과는 달리 국내 연구 및 기술 교류를 위해 의도적으로 추진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본보다도 2년 앞섰으며 아시아에선 최초다.

SDN은 UCLA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연구하던 전길남 박사가 1972년 귀국해 미국에서의 인터넷 개발 연구 참여 경험을 살려 성공시켰다. 전 박사는 이후 카이스트로 자리를 옮겨 카이스트도 SDN에 합류하도록 하는 등 국내 인터넷 기반 마련 및 확대에 기여했다.

83년 해외정보통신망이 구축된 후 데이콤(현 LG유플러스)은 국내 정보통신망 구축에 주력했다. 84년 우리나라는 공중정보통신망(DACOM-NET)을 개통하며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패킷교환망을 보유한 국가로 진입했다.

85년 한국데이타통신에서 이메일 상용서비스를 시작했고 86년 전 박사가 '.kr' 도메인을 존 포스텔로부터 위임 받아 국가 도메인의 행정관리자로 활동했다. 현재 .kr 도메인 등록건수는 약 130만 건으로, 경제적으로 연간 130억원 이상의 외화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86년에는 국내 최초의 PC통신 서비스 '천리안'이 등장했다. 천리안은 우리나라 데이터서비스 산업 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했으며 '정보은행' 시대의 본격적인 막을 열었다. 천리안은 88년 5월부터 천리안2로 천명의 유료가입자 유치와 함께 게시판, 채팅, 자료실 등의 서비스를 추가하며 PC 통신 대중화를 이끌었다. 이후 천리안에 이어 하이텔(1992년), 나우누리(1994년), 유니텔(1996년), 넷츠고(1997년)가 잇따라 PC통신 서비스를 시작했다.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국내 최초의 컴퓨터 바이러스 '브레인(Brain)'도 발생했다. 88년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브레인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백신을 개발하게 한 동기가 됐다. 브레인은 안철수 박사가 개발한 V1(V3 전신) 백신 프로그램에 의해 소탕됐고 안철수 박사는 의사 생활을 하면서 7년간 무료 백신 프로그램 V1, V2, V3를 만들었다. 안 박사는 1995년 안철수연구소를 설립했다.

일반인들이 본격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때는 1994년부터다. 한국통신(KORNET), 데이콤(BORANET), 아이네트(NURINET) 등 상용 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SP)가 등장하면서 일반 인터넷 사용자 수는 증가하기 시작했다.

1999년엔 '두루넷'과 ADSL 등 현재와 같은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인터넷 이용자수는 1천만명을 돌파하기에 이른다.

한국인터넷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2011년11월 기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수는 1천782만명에 달하며 인터넷 이용자수는 3천718만명(78%)을 기록 중이다.

한국인터넷경제규모는 86조원 수준으로 국내총생산(GDP)대비 비중은 7%에 이르고 있다. 이는 주요20개국(G20) 중 영국에 이어 2위의 인터넷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 홍성규 부위원장은 "인터넷은 단순히 우리 경제의 한 부분이 아니고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인터넷을 근간으로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가진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모든 분야로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인터넷 서비스·정책도 함께 발전

인프라의 확대와 함께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도 발전을 거듭했다.

82년 인터넷 최초 접속이 이뤄진 이후 85년 한글 전자우편 프로그램과 한글 에디터인 hvi라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SDN에서도 한글을 사용해 전자우편을 송수신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한국데이타통신에서 이메일 상용서비스를 시작한 후 연구소, 대학교 등을 중심으로 사용되다가 97년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웹을 이용한 이메일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우리나라 전국민이 누구나 인터넷을 통해 이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웹사이트는 'cair.kaist.ac.kr'로 1993년에 개설됐다. 이듬해 한국통신이 인터넷 상용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청와대 등 정부기관도 홈페이지를 개설하기 시작했다. 쥬라기공원, 단군의 땅 등 문자로만 이뤄져 있던 초기의 컴퓨터 게임인 머드게임도 이때 최초로 등장했다.

95년엔 '월드와이드웹(www)'이 도입됐고 중앙일보, KBS 등이 인터넷 신문과 방송을 서비스했다. 97년은 본격적으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인터넷이 대중화된 시기였다. 인터넷을 통한 주식거래가 처음으로 가능해졌으며 검색, 이메일 등 무료 인터넷 서비스가 시작됐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은 한메일을 필두로 엠파스, 야후코리아, 네이버, 라이코스 등이 잇따라 설립되며 포털 사이트 전성시대가 열렸다.

한국 게임 시장은 96년 단군의 땅 이후 그래픽 기반 머그게임인 넥슨의 '바람의 나라' 등을 통해 본격적인 그래픽 온라인 게임 시대가 열리기 시작한 후 급성장했다. 98년 발매된 '스타크래프트'와 엔씨소프트의 '리니지'는 한국의 PC방 사업을 폭발적으로 확산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됐고 PC방 확산에 따라 국내 게임 산업 규모도 크게 증가했다.

1999년 게임 개발 업체는 416개에 불과했으나 2004년에는 2천567개 업체가 등록됐으며 이 중 약 40% 업체는 온라인 게임에 주력했다.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의 성장은 단순 놀이에 그치지 않고 산업화해 수출까지 하면서 시장 규모도 커졌다. 2002년 이후 연평균 27%나 성장해 2005년에는 1조4천억원에 이르렀고 2008년 온라인게임 수출액은 10억 달러를 넘었다.

인터넷 산업 발전과 함께 정부 정책도 체계를 갖춰갔다. 1983년 전기통신기본법이 처음으로 제정됐고 86년엔 전산망 보급확장과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됐다. 94년에는 처음으로 IT 산업을 총괄하는 정보통신부가 발족해 정보화 촉진을 위한 기본 계획 등이 수립돼 추진됐다.

정부는 2001년부터 글로벌 IT강국을 비전으로 삼고 'e-코리아 비전' '브로드밴드 IT코리아 비전' 'u- 코리아 기본계획'등을 수립했다.

서종렬 KISA 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인터넷을 구축하고 이용자들이 활발히 이용함으로써 경제 발전과 사회적 소통이 확대됐다"며 "인터넷은 앞으로도 미래 사회 변혁을 이끌 구심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세대 인터넷 기업의 어제와 오늘

- '눈먼 돈' 몰리며 '닷컴버블' 붕괴 - NHN·다음·안철수연구소·엔씨소프트·넥슨 등 성공스토리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인터넷 산업은 트렌드 변화를 주도하며 벤처 붐을 일으켰다. 네이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네띠앙, 코리아닷컴, 한미르, 엠파스 등 수많은 1세대 닷컴 기업들이 출현했다.

이 시기에 인터넷 기업은 인터넷 도메인을 기반으로 창업해 정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커뮤니티 구성, 판매유통 및 중개 등으로 사업을 전개했다.

90년대 후반 시중 자금이 '묻지마 투자'로 닷컴기업으로 몰리면서 인터넷 기업의 주가는 폭등했다. 1996년7월 지수 1000으로 시작한 코스닥 시장은 IT 경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2000년 3월 2834.40포인트까지 고점을 찍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일부 유명 인터넷 기업이 도산하고 관련 주식이 폭락하며 닷컴버블로 이어졌고 불확실한 수익모델로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은 기업들은 줄줄이 도산하며 인터넷 기업 1세대는 흥망성쇠를 경험했다.

1997년 국내 처음으로 홈페이지 기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 ‘네띠앙’은 2003년 9월 회원수가 730만명에 이르렀으나 2006년 웹호스팅비를 지불하지 못해 결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커뮤니티 부문에서 다음과 함께 1,2위를 다퉜던 프리챌은 서비스 유료화 정책의 실패로 후발주자인 싸이월드에 밀려 위축됐다. 전제완 프리챌 창업자는 수년 간의 우여곡절 끝에 최근 모바일 동영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짱라이브’를 선보이며 재기를 노리고 있다.

NHN과 다음, 네이트(전신 라이코스 코리아), 넥슨, 엔씨소프트, 네오위즈 등은 인터넷 트렌드를 주도하며 지금까지 성공한 대표적인 닷컴 1세대 기업으로 꼽힌다.

삼성SDS의 사내벤처로 시작한 네이버는 1997년 이해진 창업주가 개발진을 이끌고 회사에 3억원을 토해낸 다음 독립해 세웠다. 그러나 당시 네이버는 별다른 성과 없이 다음, 야후, 라이코스에 이어 검색포털 업계 4위에 그쳤다.

자금난에 시달렸던 이해진 창업주는 다행히 100억원대의 투자를 유치했고 수익모델 강화를 위해 네이버와 공동마케팅 관계였던 한게임과 전격 M&A를 하며 NHN을 세웠다. 한게임 대표였던 김범수 현 카카오 의장은 당시 PC방을 하며 게임을 개발, 한게임을 창업했다. 아바타라는 수익모델을 만들며 첫 날 매출 5억원을 기록했다.

NHN으로 탈바꿈한 후 지식iN, 통합 검색 등에 집중한 결과 현재 검색점유율 70%를 기록하며 업계 1위를 차지, 연 매출액 2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1995년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소 박사과정을 밟던 이재웅 다음 창업주는 프랑스 현지에서 인터넷을 접하고 ‘생활 양식 자체를 바꾸는 거대한 혁명의 시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학위도 포기하고 귀국한 그는 이택경 이사, 고 박건희씨 등과 함께 자본금 5천만원으로 다음커뮤니케이션을 세웠다.

다음은 무료 웹메일 한메일을 서비스하며 인터넷 사용 인구 확대에 큰 이바지를 했고 확보한 인터넷 이용자를 기반으로 ‘다음 카페’ 등 커뮤니티 서비스에 주력했다. 그러나 NHN의 고속성장에 밀려 현재 업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안철수 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의대 재학 중 컴퓨터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컴퓨터 바이러스 ‘브레인’을 제거해주는 V1 백신을 개발했다. 이후 7년간 의사생활을 하면서 V2, V3를 만들었고 1995년 3명의 인원으로 안철수연구소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백신 사업을 시작했다.

안철수연구소는 1999년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로는 한글과컴퓨터에 이어 두번째로 연매출 100억원을 돌파했고 현재 국내 보안업계 부동의 1위 업체로 성장했다. 안철수 원장은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 현재 유력한 대권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아래아한글 워드프로세서 개발자였던 김택진 대표에 의해 1997년 설립됐다. 설립 이듬해 출시한 리니지 성공이 후 리니지2, 길드워 등을 통해 엔씨소프트를 세계적인 게임 기업으로 성장시키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넥슨 김정주 회장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86학번)를 졸업한 뒤 카이스트 대학원 전산학과에 들어갔다. 그는 이해진 NHN 창업자와 같은 방을 썼고 옆 방에는 송재경(XL게임즈 대표), 김상범(넥슨 이사)가 있었다. 김정주 회장은 송재경, 김상범, 이민교 등과 함께 1994년 그의 나이 26세에 넥슨을 창업했다.

넥슨은 국내 최초 그래픽 기반 온라인 게임인 ‘바람의 나라’를 출시하며 본격적인 게임 사업에 뛰어들었다. 넥슨은 어둠의 전설, 일랜시아, 퀴즈퀴즈, 크레이지아케이드, 메이플스토리, 카트라이더 등 매년 새로운 게임을 출시하며 현재 글로벌 2위권 온라인게임 업체로 자리매김했다.

김영리기자 miracle@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인터넷30년-중]실험실 전산망, 세상을 지배하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