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中 보호무역조치로 인해 韓 GDP 약 2% 감소


2008년 이후 중국의 보호무역조치는 늘어나는 추세

[아이뉴스24 윤선훈기자]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로 인해 국내총생산(GDP)이 약 2%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22일 보고서 '중국 보호무역조치 확대 동향과 한국산업의 영향 분석'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이 무역기술장벽과 위생·검역 등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보호무역조치로 대(對)중국 수출산업인 화장품·화학·전자기기·기계·음식료품 산업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 보호무역조치가 없을 경우에 비해 국내총생산(GDP)이 2.08%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생산량은 2.51%, 수출 3.37%, 수입은 1.24% 감소했다.

오경수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의 산업별 관세상당치는 일반 관세에 비해 매우 높기 때문에 비관세장벽에 직면한 수출 기업들이 느끼는 부담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비관세조치로 인한 GDP 감소효과는 한·중 FTA의 실효성을 잠식할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수출품에 대한 중국의 비관세장벽 조치와 무역구제 조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 대(對)한국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의 국가별 비중은 미국(12.2%, 3천467건)에 이어 중국(7.2%, 2천66건)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금융위기 이전인 2000년부터 2007년에 중국의 대(對)한국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 누적비중은 4.5%(618건)로 금융위기 이후에 대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 기간 우리나라에 대한 전세계의 비관세장벽·무역구제 조치는 2000년부터 2007년 총 1만3천647건에서 2008년부터 2016년 총 2만8천398건으로 급증했다.

비관세장벽조치 유형별 산업 비중을 보면, 무역기술장벽(TBT)의 경우 에너지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화학, 전기전자, 자동차 등으로 업종이 확대돼 주요 수출산업 전반에 적용되고 있었다. 위생 및 검역(SPS) 조치의 경우 주로 식의약품 분야에, 반덤핑 조치는 화학분야에 집중됐다.

오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주요 수출 산업인 자동차, 화학, 전자기기, 기계, 음식료품에 중국의 비관세조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무역기술장벽(TBT)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무역기술장벽(TBT)은 주요 수출산업인 화학, 전기·전자, 자동차 등에 집중돼 다른 비관세조치보다 관세상당치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크다"며 "게다가 해당 수출업종의 무역 구조는 소비재뿐만 아니라 중간재 비중이 높고 다른 산업으로의 파급 효과도 매우 크기 때문에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윤선훈기자 krel@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中 보호무역조치로 인해 韓 GDP 약 2% 감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