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O2O 사업, 돈 벌기 쉽지 않네


카카오택시 반쪽 유료서비스·중기부 조사에 업계 '촉각'

[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카카오택시 유료 호출 서비스에 제동이 걸리자 O2O(Online to Offline, 온·오프라인연계) 업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

O2O 업체들은 맏형 격인 카카오마저 정부 권고대로 카카오택시 유료 서비스를 반쪽짜리로 시작한데다, 중소벤처기업부가 O2O 실태조사에 나서면서 광고, 플랫폼 수수료 등 수익모델에 메스가 가해질까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16일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카카오택시는 지난 13일부터 유료 호출(스마트호출)에 적용됐던 '목적지 미공개' 방식을 철회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골라 태우기'를 막기 위해 목적지 미공개 방식을 도입하려 했지만 택시 기사 이용률이 기대에 못미치자, 서비스 활성화 차원에서 호출 수락 전 승객이 설정한 목적지가 공개되도록 바꿨다. 택시기사들에게 유료 호출비 1천원 중 600원 정도가 보상금으로 돌아가는데, 이는 기사들의 눈높이보다 턱없이 낮기 때문이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국토교통부 권고에 따라 카카오택시 유료 호출비를 1천원으로 책정했고, 2천원 이상으로 예상됐던 '즉시배차' 서비스는 잠정 보류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정부, 택시업계 반발로 서비스 운영에 갈팡질팡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와 관련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한분 한분의 호출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 느낄 수도 있다"며 "하지만 카카오택시라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성이 개선돼 더 많은 운행완료수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카카오모빌리티의 대표로서 기업의 수익성을 고민해야할 부분도 있지만, 모빌리티 서비스는 길에서 집에 갈 방법을 찾는 분들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본질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동이라는 수요가 가지는 독특한 특성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O2O 업계는 카카오가 유료 서비스에 애를 먹으면서 고심이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O2O 수익모델은 대부분 플랫폼 수수료나 광고인데 배달, 카풀, 숙박 등 어느 서비스든 기존 오프라인 사업들과 부딪힐 수 밖에 없다"며 "카카오의 유료 호출 서비스 도입이 매끄럽길 바랐는데 역시나 제동이 걸리면서 O2O는 한국에서 어렵나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플랫폼 사업 특성상 이를 이용하는 업체와 갈등이 생길 수 있고, 과도한 비용을 요구한다면 제재하는게 맞다"면서도 "무조건 생태계를 교란하는 황소개구리로 몰아가는 것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맞지 않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중기부, O2O 실태 조사에 업계 '긴장'

이같은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가 O2O 산업 실태 파악에 나서면서 업체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중기부는 이를 위해 연구용역 조사 중이며 배달, 부동산, 숙박 등 국내 O2O 산업 현황, 불공정거래 실태 등 산업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는 6월에 공개될 예정이다.

O2O 사업자들은 주 수익원인 광고, 수수료 등에 규제가 가해질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중기부에서 의견을 수렴한다고해서 직접 서비스 모델, 수익화 방식 등을 설명하고 있다"며 "O2O 사업 모델 대부분이 법제화 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자칫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갑질에 몰려 규제를 받게 될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실태 조사일 뿐이며 규제 등 정책 방향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중기부 관계자는 "그동안 O2O 산업에 대한 조사가 없어 시행하는 것이고 규제를 위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관행, 업체간 상생, O2O 사업자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일"이라며 "가령 광고라는 수익모델 자체를 재단하는게 아니라 업계 의견도 듣고 이를 해외 사례 등과 비교해 보겠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6월께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조사 결과에 따라 대책 방안이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참에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규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승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운송, 여객, 숙박 등 서비스는 주도권의 문제가 아니라 확장성을 봐야 한다"며 "플랫폼화 된다는 것은 다른 서비스들이 접목된 생활이라 부가가치가 붙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 규제 방향은 사용자 선택권이 강화되고, 사업자간 경쟁으로 블루오션이 될 수 있는지 등을 고려해 정해져야 한다고 본다"며 "ICT 기업은 1~5년 안에 승부가 나는데 이에 맞춰 규제의 신속성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민혜정기자 hye555@inews24.com






alert

댓글 쓰기 제목 O2O 사업, 돈 벌기 쉽지 않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포토뉴스